여러가지 정보/관련 행사들

[아산라운드테이블] 아랍의 봄: 앞으로의 과제 (발제자: 발리 나스르 교수)

둘뱅 2013. 1. 15. 00:29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발리 레자 나스르 학장을 모시고 진행된 라운드테이블 풍경 © 아산정책연구원)


월요일 오전 아산정책연구원 (원장 함재봉)이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발리 레자 나스르 학장을 초청하여, 아랍의 봄: 앞으로의 과제 (The Arab Spring: Where do we go from here?)라는 주제로 개최한 아산라운드테이블에 다녀올 수 있었습니다. 라운드테이블이라는 것을 처음 참관하게 되었는데, 현재 칼럼을 연재하고 있는 아시아앤의 담당 기자로부터 개최소식을 접해 다녀올 수 있었습니다

 

나스르 박사는 페르시안 철학자이자 비교종교학자로 유명한 세이드 후세인 나스르의 아들로 이란의 테헤란에서 태어나 이란 혁명 후에 미국으로 이주한 중동 전문가 겸 베스트셀러 작가, 브루킹스 연구소의 외교 정책 선임 연구원 겸 블룸버그 뷰의 투고가입니다. 그는 이슬람 세계와 중동 정치의 미국 내 최고 전문가 중 한명으로 현재 미국의 대 중동 정책 수립과정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미 국무부의 외교정책 자문위원으로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특별 대표의 선임 자문역을 맡고 있습니다. 《시아파의 부흥 (The Shia Revival, 2006)《부의 힘 (Forces of Fortune, 2009)이라는 두 권의 저서에서 이라크 전쟁에 이은 종파 갈등과 아랍의 봄 가능성을 예견한 바 있습니다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발리 레자 나스르 학장 © 아산정책연구원)

 

제가 참관했던 그 회의에는 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함재봉 아산정책연구원장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중동연구센터장켄트 컬더 (Kent E. Calder) 존스홉킨스대 동아시아 연구센터장재 구 (Jae H. Ku)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장 (US-Korea Institute), 문정인 연세대학교 교수한석희 연세대학교 교수백지아 외교통상부 유엔안보리 업무 지원대사가 참석했습니다.


이날 회의에서 나온 내용들을 아래와 같이 요약해 보았습니다.


1.     아랍의 봄이 확산되는 이유

1)   인구의 60% 이상이 25세 이하 청년층.

2)   산유국이든 비산유국이든 빈약한 경제구조로 인해 1990년대 걸프전쟁 이후 경기침체를 겪으며 일자리가 늘어나질 않는데다, 경제가 세계화 되는 과정에 원할하게 융합되지 못하면서 경쟁력이 낮아진 것이 2000년대 들어서도 계속 이어져.

3)   미국이 중동 지역의 변화를 주로 안보적 관점에서만 다루면서 지난 2년간 이 지역에서 발생한 정치적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도 한 요인

4)   이집트, 튀니지 같은 결과를 얻어내진 못했어도 요르단, 사우디 같은 나라에도 영향을 미쳐

 

2.     왜 아랍의 봄은 2011년에 일어났는가?

1)   IT의 발달로 무엇보다 트위터 같은 SNS의 인기와 비디오공유 기능이 한결 간편해진 스마트폰의 발달과 보급이 늘어나면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기가 한결 쉬워짐..

2)   기존의 알 자지라 외에도 알 아라비야 등 정부의 통제가 쉽지 않은 각종 뉴스채널들이 활성화됨.

3)   기상이변 등으로 식자재 값이 폭증하면서 식비가 없어 생존에 위협을 느끼는 사회적 공포가 확산 (ex. 이집트 인구의 약 48%는 하루 $2로 겨우 연명.) 어떤 경제적 이슈가 발생할 경우 바로 그 다음날 중동권 전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

 

3.     왜 튀니지에서 아랍의 봄이 먼저 발생했을까?

1)   여러가지로 아랍과 조금 다른 상황

2)   IMF의 원조를 받아 경제 개혁을 하면서 EU의 생산기지로서 많은 지원을 받고 산업 개혁에 성공하여 호황을 누리기도 했으나, 교역대상의 다각화에 실패하고 EU로 집중되면서 EU의 정세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게 됨.

3)   경제위기가 EU를 강타하면서 소비자들은 보다 저가의 제품들을 선호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튀니지에서 공급하던 물량의 20~30% 정도가 중국제에 밀리는 상황이 발생. EU 의존도가 너무나도 높았던 튀니지로써는 대안없이 맞이한 위기상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정적인 피해를 당함..

 

4      이집트

1)   무바라크 정권 말기 경기 침체로 큰 어려움을 겪었음

2)   민영업체, 다국적 기업 등에 근무하는 중류층들이 빈곤한 경제와 독재정권에 의해 지배된 현실에 불만족을 가지며 사회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목소리를 높이며, 사회적 공포를 느끼는 하층민들까지 규합해낼 수 있었음.

 

5.     아랍사회의 도전

1)   민주화 과정에서 전례없이 강력한 지도자 없는 민중이 중심이 된 혁명임.

(1)   긍정적 요인: 국민에게 권력과 보상이 따를 것임.

(2)   부정적 요인: 민주화와 선거를 통해 이슬람 정치세력의 증가. 미국도 무바라크 이후 정권잡은 MB가 이슬람화하는 것에 우려

2)   경제안정 없이 성공적인 민주화가 이뤄진 전례가 없었다는 것이 극복해야 할 과제

(1)   경제 침체가 아랍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게 된 근본적인 원인

(2)   민주화 운동 속 안보 및 정치 안정, 관광 침체 속 경제발전 도모에 어려움이 있으며 민영화 등 경제 개편 및 개혁에 난제들이 산적

(3)   이 상황을 어느정도 도와줄 수 있는 미국이나 EU는 이 지역의 경제 안정 자체에 관심 없다는 것 또한 문제

 

6.     시리아

1)   통치세력과 국민들간의 극한 대립, 유혈사태 등이 지속되면서 유고슬라비아와 같은 길을 걷고 있음.

2)   정치적, 종파간, 종교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머 바샤르 정권에 대한 오해로 이를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면서 미국은 잠재적 동맹국이 등장하는 상황을 활용하지 못하고, 이를 틈타 중국과 러시아가 영향력을 넓혀가는 등 원치 않은 상황으로 발전하고 있음.

3)   적절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 이라크와 비슷하게 악화될 가능성도 있음.

 

7.     이란

1)   이란은 경제 제재를 겪으면서 특히 중국과의 관계가 돈독해지고 있음.

2)   이란은 파키스탄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핵 기술을 자산으로 삼으려고 할 것임. 따라서 제재나 군사적 개입보다는 지속적인 외교활동을 통해 무력화시키는 것이 주요.

3)   이란의 국내 정치상황과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의 권력약화가 현재의 교착상태에서 평화적인 해결책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는 신호

4)   같은 제재를 받고 있는 이란과 북한의 차이는 석유를 보유하고 있느냐 없느냐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