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쌀람! 풋볼/카타르 월드컵

[월드컵] 치명적인 결점을 극복하고 2022 월드컵 유치한 카타르의 노력

둘뱅 2010. 12. 3. 03:04

 

 

저녁 식사를 하면서 2018, 2022년 월드컵 개최지 발표 소식을 접했습니다. 사우디에 살고 있어서인지 카타르가 유치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결국은 예상대로 카타르가 월드컵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네요.

 

인구 약 170만의 작은 국가, 국제대회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인적이 없는 국가대표팀을 가진 카타르가 개최지로 선정된 데에는 여러가지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 꾸준하게 진행해 온 노력이 결실을 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가 잘 모르는 사이에 나름 많은 준비를 해왔거든요.

 


 

1. 인구 170만의 소국. 하지만 가장 많은 시청자층 확보가 가능한 지리적 잇점 

카타르 자체는 앞서 얘기했듯이 가장 작은 나라입니다. (미국 CIA의 2010년 7월 추정치로는 840,926명이라고 하네요) 그야말로 월드컵 기간에는 전국민을 합친 것보다 몇 배의 축구팬들이 카타르를 향하게 되겠죠. 하지만, 적은 인구 수로 인한 핸디캡을 극복할 수 있는 것 다른 경쟁국가들에 비해 유리한 지리적 위치가 있고, 이를 살릴 수 있는 컨텐츠 개발은 단연 압도적인 지위를 차지합니다.

 

미국, 우리나라, 일본, 호주는 황금시청시간에 시청자를 광범위하게 확보하는 일은 시차 때문에 불가능합니다만, 카타르는 외곽으로 치우쳐져있는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운데 있어서 가장 많은 시청자를 황금 시간대에 붙잡을 수 있다는 잇점이 있습니다. 지난 94년 미국 월드컵 때 다른 대륙의 시청자들을 고려하여 가장 무더운 12~2시 사이에 경기를 벌였던 점을 생각해 본다면, 이것도 중요한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2. 중동-북아 지역 시청자층을 다 쓸어버린 알 자지라 스포츠의 저력

하지만, 이러한 지리적 잇점 외에 카타르가 가진 강점은 스포츠 중계 컨텐츠에 독보적인 노하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창사 8년만에 중동-북아지역의 최대의 스포츠 유료채널이 된 알 자지라 스포츠를 통해서이죠. 두 개의 무료 채널로 시작했던 알 자지라 스포츠는 그야말로 독점적인 컨텐츠 확보에 들어가게 되는데 2009년 이후 기존의 사업자들을 무너뜨리고 중계 시장을 장악하게 됩니다. FIFA, UEFA, AFC 등에서 개최하는 인터내셔널, 대륙간 A매치의 중계권, 영국 프리미어 리그를 제외한 주요 유럽 프로리그 (영국은 프리미어 리그 외 2부 리그, 칼링컵, FA컵 독점)와 카타르, 사우디 리그 등 중동 주요 리그의 독점 중계권을 확보하는데 성공하면서 중동, 북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축구팬들을 흡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특히 2009/2010 시즌부터 UEFA 챔피언스 리그, 유로파 리그의 중계권을 ART로부터 가져온 것이 큰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 유료 방송의 선두주자였던 ART를 사들이면서 기존 사업자들을 축구중계 관련 시장에서 몰아내버렸거든요. (영국 프리미어 리그는 아부다비 스포츠가 가져갔습니다만...)  

 

 

(알 자지라 스포츠의 경기분석위원이기도 한 아르센 벵거 아스날 현감독)

 

 

알 자지라 스포츠가 무서운 점은 단순히 중계권을 독점했다는 것 외에 자체적인 컨텐츠 제작의 노하우와 인맥을 쌓아올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A매치, 엘 클라시코, 밀란 더비 등 중요한 시합의 경우 경기장 내에 특설 스튜디오를 설치하고, 객원 분석 위원, 해설자로 유명한 전현직 축구인들을 섭외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경기분석위원들은 국가를 가지라 않고 엄선합니다. 가까이는 사우디 알 힐랄의 레전드이자 구단 기술 위원인 사미 알 자베르, 나와프 알 테므야트 (이 두 선수는 은퇴 기념경기를 위해 맨유와 인터밀란을 시즌 중에 모셔올 정도였죠...)로부터 아르센 벵거 현 아스날 감독, AC밀란의 부자 레전드 말디니 부자의 아버지인 체사레 말디니, 글렌 호들, 샘 앨러다이스, 앨런 시어러 등 유럽의 전현직 감독, 선수, 브라질의 베베토와 아르헨티나의 호세 페커만 등 유명한 축구인들이 경기를 분석해 줍니다. 다양한 국적의 해설 위원이 아랍어 동시통역을 통해 경기에 대해 얘기하는 모습을 보는 것은 낯설지 않은 풍경입니다.

 

(이 스튜디오 안에 서로 다른 국적의 축구인들이 아랍어 동시통역을 통해 시합을 분석하고 경기를 소개한다.)

 

알 자지라 스포츠의 비약적인 발전은 미디어를 통해 중동-북아 등 대륙을 오가는 광범위한 지역의 시청자층을 확보했다는 점 외에도, 이를 통해 축구계에 넓은 인맥을 확보하는 데도 큰 원동력이 되었을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월드컵 유치 홍보대사로 프랑스의 지네딘 지단, 사우디의 사미 알 자베르 등 자국 국대의 레전드급 인사들을 영입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겠지요.

 

 

3. 날씨와 작은 리그의 한계를 극복한 경기장 활용방안

축구 자체로 놓고 보면 카타르의 한계는 분명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뜨거운 날씨, 그리고 작은 리그.

한여름엔 40도를 넘나드는 날씨가 선수들과 관객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규모는 작은 카타르 리그를 감안한다면 어떻게 경기장을 만들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카타르 월드컵 유치 위원회는 분명한 핸디캡을 역으로 극복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냅니다. 친환경, 개조가 가능한 경기장의 건설이 바로 그것입니다. 12개 전 경기장에 냉방시설을 갖추고 그 중 9개 경기장을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만든다는 것이죠.

 

주목할만한 점은 냉방시설 및 전기 가동 에너지원이 석유가 아닌 태양열이라는 것입니다. 환경파괴의 주범 중 하나인 석유를 만드는 산유국에서 석유가 아닌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사용하면서 친환경 경기장이라는 이미지를 어필했다는 것이죠. (물론 그 자금이 오일머니에서 나오겠습니다만....)

 

아울러 카타르와 카타르 리그의 규모를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커질 수 밖에 없는 경기장 활용방안을 카타르는 축구 인프라가 부족한 개도국에 지원해주는 방안을 찾았습니다. 2002년 월드컵을 위해 지어졌던 경기장들이 얼마나 큰지는 K리그를 보면 금방 이해가 될 것입니다. K리그에서 최다 관중을 동원하고 있는 서울의 평균 관중 3만명은 상암 경기장의 반도 채울 수 없고, 대부분의 경기들은 그야말로 텅빈 경기장을 보게 되죠. 카타르는 자국의 환경을 고려하여 12개 경기장 중 9개를 개조가능한 구조로 만들 예정입니다. 월드컵을 위해 4~5만명을 수용할 수있는 경기장으로 만들지만, 월드컵이 끝난 후에는 상단부를 뜯어내어 2만~2만 5천석 규모의 경기장 등으로 사용하고 뜯어낸 상단부 자재를 축구 인프라가 부족한 개도국으로 보내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죠. 여기에 냉방 경기장을 만들어 낸 노하우도 더운 국가들에 전수하여 다른 국제 대회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한다는 비전을 세웠구요.

 

(월드컵 기간 중 지겹게 봤던 카타르 월드컵 유치 홍보광고. 홍보모델에 따라 다양한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광고 풀버전. 순서대로 로날드 드 브어 (네덜란드),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아르헨티나). 사미 알 자베르 (사우디), 펩 과르디올라 (스페인)이 홍보대사로 참가했다. 사미 알 자베르를 제외한 세 사람의 공통점은 선수생활의 황혼기를 카타르에서 보냈다는 것이다. 로날드 드 브어는 알 라이얀과 알 샤말에서 뛰다 은퇴했고, 가브리엘 바티스투타는 알 아라비에서 선수생활을 마쳤으며, 펩 과르디올라는 알 아라비에서 뛰고 다른 팀으로 옮긴지 1년만에 선수생활을 마무리한 바 있다.)

 

 

4. 왜 카타르가 중동 최초의 월드컵 개최지가 되었을까?

위에서 열거한 카타르의 유치노력은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없으면 불가능할 것입니다. 국제무대에서 중동축구를 대표하는 사우디가 아닌 카타르가 첫 도전에 나서 성공할 수 있었을까요? 중동지역의 최대 리그는 제 블로그에서도 종종 소식을 전해드리는 사우디 리그입니다만, 사우디가 도전에 나서는 데는 여러가지 극복하기 힘든 한계가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여전히 여행이 쉽지 않은 폐쇄적인 문화에 있습니다. 국가별 A매치나 있어야 겨우 외국인 여성들의 입장을 허용할 정도로 남성 위주의 축구관람 문화를 가진 나라에서 1회성 시합이 아닌 국제대회를 진행한다는 것은 사우디의 관광 및 정서적인 면에서의 전면적인 개혁을 필요로 합니다. 안그래도 위성, 인터넷을 통해 유입되는 서구문화와의 문화적 갈등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 이러한 차이를 단번에 무너뜨릴 수 있는 이런 일에 선뜻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아울러 현재 운행중인 교통수단으로는 월드컵을 보러 올 내외국인들을 실어나르는데 많은 한계가 있고, 이를 위해 확장하기에는 무모한 면도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중동지역 개발의 상징이었던 두바이는 이런 유치활동에 뛰어들기 힘들 정도로 묻지마 개발의 한계를 이미 경험하고 있죠. 아울러 연방국이기에 단독으로 유치에 나설 수도 없고, 두바이와 아부다비에 집중되어 있는 구조를 감안해 본다면 다른 토호국의 협조 혹은 지원이 필요하니 쉽게 진행하는데도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도하는 오래전부터 국가 규모에 비해 양질의 축구 인프라를 갖춰오고 있었습니다. 도하의 비극 때였던가요? 축구 시설은 우리보다 더 잘 갖춰져 있었다던 기사가 생각날 정도로 좋은 시설을 갖춰오고 있었습니다. 5천만에 육박하는 우리나라의 프로리그가 15개팀으로 이뤄진 것을 생각해 본다면, 70만 인구의 국가에 12개 프로팀이 있다는 사실은 규모에 상관없이 그들의 기반을 알 수 있는 일이죠.

 

최고, 최초에 집착하여 특별한 컨셉없이 마구잡이식 개발에 집착한 두바이의 모습에서 배운 간접 경험도 다른 분야에 특화시키려는 카타르의 비전 정립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집니다. 본격적인 개발과 더불어 다른 걸프국가들과 달리 국제대회 개최에 촛점을 맞추고 있죠. 지난 도하 아시안 게임이나, 다음 달에 있을 아시안컵 유치에 이어 2022년 월드컵 유치로 그 결실을 보게 되었구요.

 

그리고 오일 머니와 인맥을 활용한 꾸준한 유치 노력 또한 무시못할 것입니다. 지네딘 지단 등 유명 축구인들을 홍보대사로 앞세운 것은 물론, 카타르에서의 A매치 개최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자신들의 진행상황을 직접 어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2009년 11월과 2010년 11월 두 차례에 걸쳐 전세계 축구팬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국가대표 A매치 친선시합을 유치한 것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축구팬들이라면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브라질 대 잉글랜드, 브라질 대 아르헨티나의 친선시합을 바로 도하에서 갖게한 것이죠. 이는 자신들의 개최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유럽과 가깝다는 지역적인 잇점을 어필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많은 국가대표들이 유럽의 클럽에서 활약하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선수 차출 요청 시에도 거리적으로 먼 남미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카타르로 불러내는 것이 훨씬 쉬울테니까 말이죠.

 

(프리젠테이션 2주전 치룬 실전 모의고사. 브라질 대 아르헨티나 친선시합에서 터진 메시의 극적인 결승골.

막판 터진 결승골로 아르헨티나가 승리를 거뒀던 것처럼 카타르도 막판 역전극을 내심 자신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현실이 되었다.) 

 

 

아울러 두바이가 차지하고 있는 중동지역 허브라는 지리적 잇점을 가져오기 위해 도하 국제공항을 확장하고 카타르 항공을 에미레이츠에 맞먹는 항공사로 키우기 위한 노력과 준비도 하고 있습니다. 확장 프로젝트가 종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퍼스트/비즈니스석 승객을 위한 전용 터미날을 만들고,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승객수를 줄이고 서비스를 강화하는 정책을 쓰고 있구요.

 

 

(카타르의 월드컵 개최를 자축하는 도하 시내의 풍경)

 

 

오랜기간 다양한 분야에서 준비해 온 카타르의 노력들이 결국 국제 축구무대에서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는 지명도와 한계를 극복하고 카타르를 2022년 월드컵 개최지로 만든 요인들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특별한 메리트도 없는 우리가 월드컵 개최에 치명적인 결점을 가지고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진심으로 작정하고 오랫동안 준비한 카타르와 맞붙을 수 있었을까요?